컴퓨터의 소프트웨어적인 관리와는 다르게
하드웨어 관리는 컴퓨터를 모르는 사람들에게 매우 어렵게 느껴질 수 있는데요.
컴퓨터 관리는 소프트웨어적인 부분의 관리와
하드웨어적인 관리가 동시에 이루어져야합니다.
하드웨어적인 관리란 컴퓨터 본체 내부에 있는 부품을 청소하는 것인데요.
오늘은 그래픽 카드 청소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필자의 컴퓨터 본체입니다.
본체에 설치된 그래픽 카드는 엔비디아사의 Geforce GTX 760 입니다.
개조는 조탁에서 된 제품인데요.
먼저 그래픽 카드를 조심스럽게 본체에서 분리해 줍니다.
우측에 있는 케이블과 좌측에 보이는 나사를 풀면 그래픽 카드가 분리됩니다.
그래픽 카드는 하단부에 있는 칩과 상단에 있는 쿨러로 나뉘는데요.
하단부의 칩을 다룰때에는 상당히 조심스럽게 다루어 주어야 합니다.
먼저 쿨러와 칩을 분리해 줍니다.
분리를 위해서는 몇개의 나사만 풀어주면 됩니다.
분리한 모습입니다.
사진의 위에 보이는것이 쿨러, 아래에 보이는것이 칩입니다.
쿨러와 칩이 맞닿아 있는곳이 바로 그래픽카드의 가장 중요한 GPU가 있는곳인데요.
이 부분에 보면 회색의 액체 혹은 고체가 묻어있는것을 확인 할 수 있습니다.
이 액체는 '서멀 구리스' 라는것인데요.
GPU와 쿨러 사이에 있는 접촉열저항을 최소화 시켜
GPU에서 발생하는 열을 효율적으로 쿨러로 전달하게 합니다.
그래서 이 서멀 구리스는 주기적으로 교환을 해 주는것이 좋은데요.
근처 컴퓨터 가게에 보면 3000원 안팍으로 서멀 구리스를 구매할 수 있습니다.
먼저 기존에 발라져 있던 서멀 구리스를 물티슈로 깨끗하게 제거해 줍니다.
이후 쿨러와 칩에 있는 먼지들도 부드러운 솔을 이용해 전부 제거해 주어야 하는데요.
이 먼지들은 공기의 흐름을 방해시켜 열배출이 원활히 일어나지 않도록 하고,
또한 정전기로 인해 각종 컴퓨터 부품의 고장을 일으킬 수도 있습니다.
쿨러부분은 과감히 분해하여 곳곳에 있는 먼지들을
꼼꼼하게 제거해 주어야 쿨러 효율이 올라갑니다.
이후 서멀 구리스를 다시 발라주어야 하는데요.
서멀 구리스를 바르는 가장 좋은 방법은 가장 얇게 넓게 도포하는것입니다.
허나 일반적인 가정에서는 힘들기 때문에
가장 가운데 적당량(눌렸을때 전체적으로 퍼질만한 양)을 동그랗게 발라줍니다.
이후 분리했었던 쿨러를 다시 조립해 주는데요.
서멀 구리스가 발려져 있기 때문에 한번에 정확하게 맞추어주어야 합니다.
안그러면 칩 곳곳에 서멀구리스가 덕지덕지 퍼질수도 있기 때문이죠.
이제 그래픽 카드의 청소가 끝났는데요.
청소가 끝난 그래픽카드를 분리의 역순으로 다시 조립을 해 줍니다.
마지막으로 컴퓨터 뚜껑을 닫기전에 반드시
컴퓨터가 정상적으로 부팅이 되는지 확인을 해 줍니다.
그래픽 카드의 청소를 해 보았는데요.
CPU와 GPU는 컴퓨터의 중추이기 때문에 열배출이 매우매우 중요하답니다.
컴퓨터가 느려지고 부품이 고장나지 않도록
서멀구리스 교체와 먼지제거를 주기적으로 해보세요.
'편하게 살기 위한 IT 꿀팁'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푼 라디오 PC버전 이용하기 (0) | 2018.09.23 |
---|---|
카톡 프사 움짤로 설정하기 (1) | 2018.09.22 |
컴퓨터 청소 중요성(하드웨어 관리) (0) | 2018.09.20 |
PPT 동영상 삽입하기(모든 PC에서 재생 가능) (0) | 2018.09.19 |
CPU 온도측정 및 그래픽카드 온도측정 (0) | 2018.09.18 |